전체 글30 철도 분기기 기초 1. 분기기의 정의 열차 또는 차량을 한궤도에서 타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를 분기장치 또는 분기기(分岐器)라 한다. 2. 분기기 구성 1) 포인트(轉轍機 point) 2) 크로싱(crossing or frog) 3) 리이드(leed) 3. 용어의 정의 1) 대향: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포인트에서 크로싱방향 즉 분기기 전단에서 후단으로 진입할 때 2) 배향: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크로싱에서 포인트방향으로 진입할 때 이며 대향 보다 운전속도가 높다. 3) 정위: 상시 개통 되어있는 방향 4) 반위: 반대로 개통 되어있는 방향 5) 직선텅레일: 열차진입시 기본레일과 텅레일 사이에 입사각 I가 형성되는 텅레일 6) 곡선텅레일: 기본레일과 텅레일 사이의 입사각이 없으며 열차진동의 .. 2022. 9. 16. 레일의 시험, 훼손, 내구연한 및 레일 점검 [레일의 시험] 1)인장시험: 공시체는 동일용강번호에 속하는 모든 강괴를 1조로 하며, 시험편은 KSB0801의 금속재료 인장시험관에 규정한 4호 시험편으로 하며 우측에 도시한 위치에서 채취하고 시험방법은 KSB0802 금속재료 인장시험방법의 규정에 따른다. 2)낙중시험: 지간 914mm의 2지점위에 레일을 얹어놓고 그 중앙에 907kg 추를 아래표에 규정된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부러짐, 터짐, 결손 등의 이상을 확인 종류 류시험편의 지지방법 낙하높이 지간(span) 타격회수 30kg 레일 머리부를 위로하여 얹는다 4.0 0.914 1회 37kg 레일 5.0 40kgN 레일 머리부를 아래로하여 얹는다 5.1 50kg 레일 머리부를 위로하여 얹는다 5.8 50kgN 레일 머리부를 아래로하여 얹는다 7.0 .. 2022. 9. 15. 철도 레일 길이 및 특수레일, 레일의 성분 [레일 길이] 1) 레일의 이음매는 궤도구조상 가장 취약한 점으로 보수노력이 증대하고 차량동요를 일으켜 승차 기분을 해친다. 2) 레일 길이의 제한사유 - 온도 신축에 따른 이음매 유간의 제한 - 레일 구조상의 제한 - 운반 및 보수 작업상의 제한 - 레일 길이와 차량의 고유진동 주기와의 관계 3) 레일의 길이에 의한 분류 레일종류 길이(m) 장대레일(Long Rail) 장척레일(Longer Rail ) 정척레일(Standard Rail) 단척레일(Shorter Rail) 200 m 이상(고속철도 300m이상) 25 ~ 200 m 미만 25m 5~25m 미만 [특수레일(Special steel rail)] 1) 고탄소강 레일 - 탄소강레일의 탄소 함유량을 증가(탄소함유량을 0.85% 정도)시켜 내마모성을.. 2022. 9. 14. 일반철도 유지관리 [용어정리] 1. "일반철도"란 철도건설법 제2조제4호에 따라 고속철도와 에 따른 도시철도를 제외한 철도를 말한다. 2. "고속철도"란 철도건설법 제2조제2호에 따라 열차가 주요 구간을 200km/h 이상으로 주행하는 철도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그 노선을 지정, 고시하는 철도를 말한다. 3. "궤간"이란 양쪽 레일 안쪽 간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하며, 레일의 윗면으로부터 14밀리미터 아래 지점을 기준으로 한다. 4. "수평"이란 레일의 지각방향에 있어서의 좌우레일면의 높이차를 말한다. 5. "면맞춤"이란 한쪽레일의 레일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의 높이차를 말한다. 6. "줄맞춤"이란 궤간 측정선에 있어서의 레일길이 방향의 좌우 굴곡차를 말한다. 7. "뒤틀림"이란 궤도의 평면에 대한 뒤틀림 상태를 .. 2022. 9. 13.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