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선로유지관리지침(분기기부분)-1 선로유지관리지침(분기기부분) 제3조(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8. “백게이지(Back gauge)”이란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간의 간격으로서 노스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踏面)과 접점(接點)에서 가드레일의 후렌지웨이 내측간의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 14. “분기기”란 열차 및 차량이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전환하기 위해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로서 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15. “고속분기기”란 노스가동크로싱을 사용한 철차번호 F18.5번 이상의 분기기를 말한다. 16. “분기부대곡선”이란 분기내의 곡선과 분기로 인하여 그 뒤쪽에 설치한 곡선을 말한다. 17. “분기기의 전단”이란 분기기의 기본 레일의 앞부분을 말한다. 18. “분기기의 후단.. 2022. 9. 10.
크로싱각과 분기기 번수, 캔트 및 레일경사, 슬랙, 분기기 통과 속도 크로싱각(角)과 분기기 번수(番數) 분기기는 분기선의 기준선에 대한 각도가 작을수록 리드의 곡선반경을 크게 할 수 가 있고, 그만큼 분기선에 있어서 원심력이 작게 되어 분기측의 주행 속도를 올릴 수가 있다. 분기기의 번수(turnout number, switch number)는 기분선과 분기선이 만드는 각 도를 나타내며, 그 분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크로싱의 번수(crossing number, frog number)를 이용하고 있다. 번수가 큰 것은, 교각이 작아서 반경이 큰 리드곡선이 접속 가능하므로 분기선측 통과속도를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다. 크로싱각을 나타내는 방법에는 코탄젠트(cotangent)방법, 반각 방법, 이등변 방법 등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반각(half-angle)방법을 이용하고 있.. 2022. 9. 10.
철도 가드레일 종류와 구조 가드레일 종류와 구조 (1) 정의와 종류 차량이 고정크로싱의 대향 분기를 통과할 때 크로싱의 결선부에서 차륜의 플랜지 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노스의 단부를 선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차륜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반대측 주 레일에 설치하는 부재를 가드레일(guard(orcheck, guide) rail)이라 한다. 가드레일 유효장과 플랜지웨이 폭은, 상기와 같이 가드레일의 사용목적에 적합하 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결선부와 가드레일에 충격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차륜 유도시 충 격을 최대한 작게 하여,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강고(强固)하게 설계한다. 가드레일은, 그 설계순서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형식명이 붙여졌다. 현재 사용중인 가드레일로는 다음과 같다. 1) A형 가드 2) B형 가드 3).. 2022. 9. 10.
철도 레일 크로싱 종류와 구조 크로싱 종류와 구조 (1) 크로싱의 종류 크로싱부는 기준선측과 분기선측의 분기기 내측 레일이 교차하는 곳으로, 차륜플 랜지가 다른 레일을 횡단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차륜플랜지가 레일을 횡단하기 위 해 플랜지웨이가 필요하다. 이에 플랜지 웨이를 확보하는 방법에 따라 크로싱 (crossing, X'ing, frog)의 종류에는 1) 고정 크로싱 (rigid(or fixed) crossing) 2) 가동 크로싱 (movable crossing) 3) 승월 크로싱 (run-over type crossing) 로 분류된다. 그림 2.11와 같이 고정 크로싱은 가동 부분이 없으며, 차륜의 플랜지가 통과하는 플랜지 웨이(flangeway) 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궤간선 결선부(gap)를 두고 있다. 또한, 차륜이 궤간선.. 2022.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