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1) 강성(剛性) : 구조물의 단단한 정도를 말하며, 보통 단위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크기로 나타냄
(2) 건조수축(乾燥收縮) : 콘크리트에서 시멘트의 수화에 관여하지 않은 잉여수분이 증발되면서 콘크리트의 체적이 감소하는 현상
(3) 고속철도(高速鐵道) :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열차
(4) 고저(면틀림) : 한쪽 레일의 레일길이 방향에 대한 레일면의 높이차
(5) 궤간(軌間) : 양쪽 레일 안쪽 간의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하며, 레일의 윗면으 로부터 14밀리미터 아래지점을 기준으로 함
(6) 궤광(軌框 : track panel) : 레일에 침목을 체결한 것으로 사다리 모양의 형상이 되어 있는 것
(7) 궤도(軌道) : 레일.침목 및 도상과 이들의 부속품으로 구성된 시설
(8) 궤도틀림(irregularity of track) :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해 궤도에 발생하는 궤간, 수평, 방향, 고저, 평면성 등의 틀어짐
(9) 노반(路盤) : 궤도를 부설하기 위한 토목구조물 및 토공
(10) 도상(道床) : 도상은 레일 및 침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노반에 넓게 분산 시키고, 침목 또는 체결장치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온도에 의한 레 일의 좌굴을 방지하고 침목의 종방향력에 저항하는 궤도재료로서 일반적으로 깬자 갈 또는 콘크리트가 사용
(11) 도상 저항력(道床 抵抗力) : 자갈도상 내의 침목이 수평 이동할 때 생기는 저항력
(12) 도상 종저항력(道床 從抵抗力) : 침목의 이동이 궤도의 길이 방향일 때의 도상 저항력
(13) 도상 횡저항력(道床 橫抵抗力) : 침목의 이동이 궤도와 직각 방향일 때의 도상 저항력
(14) 레일(Rail) : 레일은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며, 차륜이 탈선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확보. 레일은 침목과 도상을 통하여 열차하중을 넓게 노반에 분포시키며, 원활한 주행면을 제공하여 주행저항을 적게 하고, 신호전류의 궤도회로, 동력전류의 통로도 형성하는 역할을 하여 열차를 안전하게 유도하는 궤도의 가장 중요한 재료
(15) 레일신축 : 레일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신축하는 현상
(16) 레일응력 : 열차 하중에 의해서 레일에 발생되는 응력
(17) 레일 체결장치(Rail fastening device) : 레일을 침목 또는 다른 레일 지지구조물에 결속시키는 장치를 레일 체결장치라 함. 레일 체결장치는 레일에 가해지는 각종 부 하요소, 즉, 레일 상하방향, 레일 좌우방향, 레일 종방향의 하중 또는 작용력, 여기 에 수반된 회전력, 충격력 및 진동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함. 레일 체결장치는 좌우레 일을 항상 바른 위치로 유지시켜야 하며, 이와같은 부하요소를 침목, 도상 등 하부 구조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함
(18) 레일 축력(Axial force) :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힘
(19) 방향(줄틀림 : 方向) : 궤간 측정선에 있어서의 레일 길이 방향의 좌우 굴곡차
(20) 본선(本線) : 열차운행에 상용할 목적으로 설치한 선로 (예 : 주본선, 부본선)
(21) 부동구간(不動區間) : 장대레일 단부에서 일정거리 이상은 레일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
(22) 부본선(副本線) : 정거장 내에 있어 주본선 이외의 본선 (예 : 상·하부본선, 착발선, 도착선, 통과선, 대피선, 교행선)
(23) 분기기(Turnout or Switch) : 분기기는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궤도에 전이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궤도상의 설비
(24) 선로(線路) :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궤도와 이를 받치는 노반 또는 인공구조물로 구성된 시설
(25) 설정온도(設定溫度) : 장대레일 설정 또는 재설정시 체결장치를 체결하기 시작할때부터 완료할 때까지의 장대레일 평균온도
(26) 신축이음매(Rail expansion joint) : 신축이음매란 장대레일의 온도상승 및 하강에 따라 발생하는 축력이 허용 좌굴강도를 초과하거나 파단시 개구량이 허용량을 초과하는 개소에 설치하는 장치
(27) 열차(列車) : 동력차에 객차 또는 화차 등을 연결하여 본선을 운전할 목적으로 조 성한 차량
(28) 완화곡선(緩和曲線) : 캔트 체감에 대응한 곡률 저감을 위해 원곡선과 직선 사이에 위치하는 곡선
(29) 유도상궤도(有道床軌道) :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레일 및 침목 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하중을 노반에 넓게 분산할 수 있는 도상을 갖춘 궤도
(30) 윤중(輪重) : 차량의 1개 차륜으로부터 레일에 가해진 수직인 힘
(31) 일반철도(一般鐵道) :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킬로미터 미만의 속도로 주행하 는 열차
(32) 장대레일(長大) : 레일을 연속으로 용접하여 한 개의 길이가 200m 이상으로 구성된 레일
(33) 장대레일 재설정(長大레일 再設定) : 부설된 장대레일의 체결장치를 풀어서 응력을 제거한 후 다시 체결함을 말함
(34) 전동차 전용선(電動車 專用船) : 축중 180kN 이하의 전동차를 전용으로 운행하는 선로
(35) 접속구간(接續區間) : 교량과 토공 또는 터널과 토공과 같이 노반상태가 변화하는 구간이나 유도상궤도와 무도상궤도와 같이 궤도구조 형식이 변화하는 구간
(36) 정척레일(定尺) : 레일 한 개의 길이가 25m인 레일
(37) 종곡선(縱曲線) : 차량이 선로기울기의 변경지점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종 단면상에 두는 곡선
(38) 좌굴(Buckling) : 레일의 온도상승에 의해 레일이 휘는 현상
(39) 진동(振動) : 진동이란 질점 또는 물체가 외력을 받아 평형위치에서 반복 운동하는 현상. 진동에는 주기운동과 불규칙으로 운동하는 비주기 운동으로 나눌 수 있음. 일 반적으로 기계나 구조물은 질량, 강성, 감쇠가 분포된 계로써, 질량과 강성은 물체 가 정적인 평형위치를 중심으로 진동하는 원인이 되며, 감쇠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 라 진동이 소멸되는 원인이 됨
(40) 차량(車輛) : 선로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작된 동력차·객차·화차 및 특수차
(41) 철도(鐵道) : 전용 용지에 토공, 교량, 터널, 배수시설 등 노반을 조성하여 그 위에 레일, 침목, 도상 및 그 부속품으로 구성한 궤도를 부설하고 그 위를 기계적, 전기적 또는 기타 동력으로 차량을 운행하여 일시에 대량의 여객과 화물을 수송하는 육상 교통기관
(42) 축중(軸重) : 차량 1쌍의 축이 레일에 가해진 수직인 힘
(43) 충격하중(衝擊荷重) : 동적하중 중에서 레일절손, 용접부 불량, 차륜 플랫 등과 같은 열차운행 중 예외적으로 발생하는 하중을 말하며 비교적 변동이 큰 하중
(44) 침목(Sleeper or Tie) : 침목은 레일을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지지하며, 궤간을 정확하게 유지하며, 레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도상에 넓게 분포시키는 역할
(45) 콘크리트궤도 : 도상구조에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방식의 궤도구조로서 ‘사전제작 콘크리트궤도’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궤도’ 등을 말함
(46) 탄성계수(彈性係數) : Elastic Modulus 또는 Young's Modulus 로 표현되며 임의재질의 탄성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재질내 임의의 공간 위치와 시간에 대하여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례계수. 탄성계수는 선형적으로 변형하는 주로 탄성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철, 콘크리트, 유리, 등에 사용. 궤도자재 중에는 레일, 침목, 노반 에 대하여는 탄성계수 사용을 원칙
(47) 탄성(彈性)체결 : 레일을 침목에 탄성적으로 체결하는 것
(48) PC침목 : Pre-stressed Concrete 침목
(49) 하중(荷重) : 구조물 또는 부재에 응력이나 변형의 증감을 일으키는 전체의 작용력
'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대레일 용접 용어, 장대레일 설정 및 용접기준 (1) | 2022.09.20 |
---|---|
장대레일 설계 및 선로 조건, 장대레일구간 궤도구조, 장대레일화 (1) | 2022.09.19 |
철도 레일 기타재료 점검, 고속선 관리기준 요약 (0) | 2022.09.17 |
궤도 도상점검 (0) | 2022.09.16 |
콘크리트침목 점검, 장단점 (1)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