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장대레일 용접 일반사항, 후레쉬벗트 용접 레일용접

by 머카 2022. 10. 13.

[장대레일 용접 일반사항]

(1) 사용 레일
용접시 사용하는 레일의 길이는 10m 이상의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득이한 경 우 10m이하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레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굴 곡된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마모 단면을 선별하여 동일한 단면의 것끼리 사용 하여야 하며, 단부의 끝닳음 부분은 충분히 절단한 후 용접하여야 한다.
(2) 레일 및 크로싱의 마모 및 훼손
살부치기 용접은 레일 및 크로싱의 일부 마모 및 결함으로 인하여 열차운행 및 선
로보수에 지장이 있어 살부치기 용접이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여야 한다.
(3) 레일 용접부의 재용접
1. 최초로 가스압접, 플래시벗용접, 테르밋용접 공법으로 용접을 시행한 후에 훼손이나 결함 등이 발생하여 재용접이 필요한 개소에는 68mm 테르밋 용접을 시행하여야 하 며, 용접부 절단길이는 최소 65mm 이상이어야 한다.
2. 68mm 테르밋 용접을 시행한 개소에 재용접을 시행할 경우에는 용접부의 절단길이 가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4) 용접봉
레일용접 시에는 직경 4mm와 5mm의 고장력 강용피복 아크용접봉 또는 표면 경화용 피복아크 용접봉을 사용하되 이들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 표를 따른다.

종류 인장강도(MPa) 신율(%)
고장력강용
표면경화용
800이상
800이상
20이상
10이상

(5) 용접봉의 취급
용접봉은 피복재가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훼손되었거나 습기를 흡수한 것은 사용하여서는 안되며, 사용 전에 반드시 105±5°C의 온도로 1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6) 레일 절단
레일을 절단할 경우에는 반드시 수직 고정 장치가 장착된 레일절단기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야 한다.
(7) 후로우 제거
살부치기 용접을 할 경우에는 모재의 표면을 그라인딩 하여야 하고, 후로우를 완전히 삭정 제거하여야 한다.
(8) 레일 천공

레일에 구멍을 뚫을 경우에는 반드시 레일드릴을 사용하여야 하고, 천공면은 손줄 또는 그라인더 등으로 면밀히 정리하여야 한다.
(9) 사전 다듬질
용접 시 레일절단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와이어 브러시나 스랙 햄머 등으로 레일
단부면 및 용접부 전후 10cm 구간을 철저히 청소하여 불순물과 녹 등을 완전히 제 거하여야 한다. 특히 가스압접 시에는 단면용 그라인더로 단면을 다듬질한 후 전면 의 거칠기가 50S(KS B0507)가 되도록 하고, 각의 둘레를 줄로 삭정하여야 한다.
(10) 끝 다듬질
용접 후 용접개소의 여성부는 모재면(저부는 제외)에 맞추어 다듬질하되, 다듬질 후의 표면 거칠기는 레일 두부의 상면 및 측면에서 50S, 복부 및 기타 부분에서 100S 이내이어야 한다.
(11) 원상복구
레일 체결장치 해체 등과 같이 용접하기 전에 준비 작업으로 행한 궤도의 임시 변 상(變狀) 및 재료의 이동 등은 용접이 끝난 즉시 감독자 입회하에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12) 철거발생품
공사 중에 발생된 철거발생품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적치 정돈하여야 한다.
(13) 방청도유
레일 용접 후 또는 크로싱 재생 후에는 용접부의 모든 표면을 깨끗이 청소하고 백등유 등을 발라야 한다.
(14) 표시
1. 이음용접 시공 후에는 용접부 근처 레일 두부 측면의 윗면에서 하방 20mm 지점에 글자의 윗부분이 일치되도록 스탬프 펀치를 이용하여 용접년도와 용접공 고유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이 때의 표시 양식은 다음과 같다.

OO - 용접년도 / OOOO - 용접공 고유번호

2. 글자의 크기는 가로 6.6mm x 세로 10mm가 되도록 한다.

 

[후레쉬벗트 용접]

(1) 개요
접합할 두 레일을 서로 맞대어 큰 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후레쉬를 발생시켜 부재 를 가열하고, 단면이 용융한 시점에서 강한 압력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이다.
(2) 용접과정
1. 예비 Flash

2. 예열

3. Flashing

4. Up set
5. Trimming

6. 연삭
(3) 특징
1. 다른 용접부에 비해 영향부가 좁다
2. 열 영향부의 경도가 높다.
3. 용접시간이 타용접에 비해 비교적 빠르다(3∼5분)
4. 전공정이 비교적 자동화되어 있어 용접품질의 신뢰가 높다.
(4) 레일의 단부 및 측면처리
1. 레일의 단부는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녹 및 기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용접기의 전극이 접촉하는 레일복부의 양쪽측면은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연마를 하여야 하고 양각 문자는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연마면의 위치 및 크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레일단부의 경사, 요철은 3.0mm이하가 되도록 한다. 부득이 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플래시를 발생시켜 레일 접합면을 가능한 평행하게 한 후 단면의 플래시메탈을 제거한다.
(5) 레일의 맞춤 및 중심합치기

1. 용접할 레일은 용접기 내로 삽입하여 정확한 위치에 정치시켜야 한다. 레일의 중심 및 면맞춤은 정확히 시행하여야 하며, 특히 레일공차 등에 의하여 레일면이 다른 경우에는 레일 두부상면 및 궤간선측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한다.
2. 최종적으로 전극과 클램프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레일 단면간의 거리가 3~6mm가 되도록 조정한다. 레일과 접촉하는 전극면은 불순물이 없도록 사포, 줄, 압축공기 등 으로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3. 용접기 전극면의 마모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이상 마모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즉시 교환하여야 한다.

(6) 용접시공
1. 용접조건은 용접기의 사양에 따르되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에 시행할 한다.
2. 용접부에 유해한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레일절단기로 절단하고 재용접할 한다.

3. 용접은 다음 조건을 표준으로 시공할 한다.

레일종별 예열회수 플래시량(mm) 가입량(mm) 용접시간(sec)
50N 4 15~25 14~28 60~110
60kg 6 15~25 14~28 70~120

4. 트리밍후 용접부 교정은 “4. 가스압접 (4) 레일맞춤 및 중심합치기”를 준용할 한다.

(7) 용접시공시 준수사항
1. 용접 부착물(Burr)은 용접 후 즉시 절단기로 제거하여야 하며, 시공시 용접 부착물 의 잔여분은 연마기로 제거하여야 한다. 이 때 다른 부분이 손상 받지 않도록 하고, 절단기날은 항상 레일 두부를 중심으로 좌우 등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조정하 여야 한다.
2. 용접개소의 주위상황에 맞게 간이막이를 설치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바람 또는 지열로 인하여 용접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사전조치한 후 용접을 시행한다.
(8) 두부 열처리레일용접의 후열처리
두부 열처리레일을 용접할 경우에는 “4. 가스압접 (8) 두부 열처리레일용접의 후열
처리”에서 정한 바에 의하여 후열처리를 하여야 하고, 경도측정위치는 [별표 3]과 같 다.

반응형

댓글